반응형 출산육아지원정책1 2023년 출산 양육 지원 정책 간단 정리(첫만남이용권, 아동수당, 영아수당, 부모금여 등) 가임여성 1명당 합계출산율이 0.81명('21년 기준)에서 0.75명('22년 2분기)까지 급락하면서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출산율 반등을 위해 부모 급여 등 다양한 2023년 신설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동안 출산 및 영유아에게 지원되는 제도의 이름을 살펴보면 영아 수당, 아동수당 등등 이름도 비슷하고 혼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현재 출산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과 신정부의 정부 지원정책을 간단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2022년 정부 지원금 ▣ 첫 만남 이용권 지원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만 0세의 영유아를 대상) 지급금액 및 방식: 국민행복카드 200만 원 지급(바우처) 지원 주기: 1회성 아동수당 지원대상: 만 8세 미만 아동(0~95개월) 지급금액.. 2022. 9. 30. 이전 1 다음 반응형